아스키코드(ASCII)란?
·
CS50
ASCII 코드의 등장 배경 컴퓨터는 우리가 말하는 알파벳 a, b, c 등을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a는 1이고 b는 2다 라는 것을 입력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어떠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어떤 컴퓨터는 a를 2라고 표현하고 어떤 컴퓨터는 a를 1이라고 표현하게 되면서 글자가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문자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해진 '약속(표준)'을 만들었습니다. 이 '약속'이 ASCII(아스키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입니다. 총 128개의 부호로 정의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A는 10진수 기준으로 65, 알파벳 B는 66으로 되어있습니다.(소문자 a는 97, b는 98)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
비트(bit)와 바이트(byte) 란?
·
CS50
이전 시간에 배웠던 2진법은 전기를 통해 연산하는, 즉 전기를 켜고 끄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컴퓨터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컴퓨터에는 굉장히 많은 스위치(트랜지스터)가 있고 on/off 상태를 통해 0과 1로 표현합니다. 컴퓨터는 2진법에서 하나의 자릿수를 표현하는 단위를 비트(bit)라고 합니다. ● 비트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는 비트(bit)라는 측정 단위를 씁니다. 비트는 '이진 숫자'라는 뜻을 가진 "binary digit"의 줄임말이며, 0과 1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측정 단위입니다. 하나의 비트는 0과 1, 이 두 가지의 값만 저장할 수 있는데, 컴퓨터 내부에서 물리적 표현될 때는 위의 그림처럼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켜기 = 1, 끄기 = ..
2진법이란?
·
CS50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0, 1, 2, 3, 4, 5, 6, 7, 8, 9 총 10개의 기호로 표현하는 것이 10진법입니다. 하지만 컴퓨터에는 이렇게 많은 숫자를 표현할 수 없습니다. 다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느리기 때문이죠. 컴퓨터에서는 오직 0과 1로만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이처럼 0과 1로만 표현하는 것을 2진법이라고 합니다. 우선 123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백이십삼'이라고 읽을 것입니다. 우리가 '백이십삼'이라고 읽는 이유는 순서대로 1을 백의 자리, 2를 십의 자리, 3을 일의 자리로 보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표현하면 '1x100 + 2x10 + 3x1 = 123' 이 됩니다. 우리 모두는 이런 과정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 이러한 표현에 대한..